[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openNAMU/사용 위키 (r13)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openNAMU
1. 접속 가능한 위키
1.1. 순정 버전을 사용하는 위키
1.1.1. 남갤위키1.1.2. 다올위키1.1.3. 먼지위키1.1.4. 민트위키1.1.5. 베타위키1.1.6. 시드위키1.1.7. 시해븐위키1.1.8. 엔젤위키1.1.9. 오픈테섭1.1.10. 위브위키
1.2. 개인 위키
1.2.1. 광토리의 백과사전1.2.2. 월드콘위키1.2.3. 우아즈위키
1.3. 일부 수정해서 사용하는 위키
2. 접속 불가능한 위키3. 다른 엔진으로 변경한 위키

* openNAMU 사용하는 위키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공식
ONTS
일반
남갤위키
로미위키
먼지위키
밀양위키
소나위키(수정)
학교
GBSWiki(수정)
외대부고 위키
개인
1392위키(수정)
광토리의 백과사전
루나위키
모래위키
(수정): openNAMU 수정한 버전을 사용하는 위키
단독 문서가 없는 위키는 openNAMU/사용 위키 문서를 참고하세요.

1. 접속 가능한 위키[편집]

1.1. 순정 버전을 사용하는 위키[편집]

1.1.1. 남갤위키[편집]

남갤위키
namgallwiki
파일:남갤위키 로고.png
서버 위치
알려지지 않음
사용 버전
v3.4.6 RC3
브랜치
stable[A]
기본 스킨
Liberty[다올]
설립일
2023년 3월 23일 (D+682)
소유자
Lwnlcks
라이선스
CC BY-NC-SA 4.0
* 소나위키의 소유자가 만든 위키로, 디시인사이드의 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를 위한 위키이다.
* 연합 최근 편집의 API는 해당 위키의 API 링크에서 가져오는 것이다.

1.1.2. 다올위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1.1.3. 먼지위키[편집]

먼지위키
meonjiwiki
파일:먼지위키 로고.png
서버 위치
미국
사용 버전
v3.4.6-RC5
브랜치
dev[A]
기본 스킨
Liberty[다올]
설립일
2023년 2월 12일 (D+721)
소유자
Jingdayeon
라이선스
CC BY-NC-SA 2.0 KR
* 엔젤위키가 생기기 전에 설립된 위키이다. 공식적인 글은 없었지만 후속 위키는 엔젤위키로 추측된다.
* 현재는 뷰어가 된 것으로 보이며, 소유자가 만든 다른 위키의 규정이나 로고들이 올라오는 것으로 보아 완전 방치하는 것 같지는 않다.

1.1.4. 민트위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민트위키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1.1.5. 베타위키[편집]

베타위키
betawiki
파일:베타위키 로고.webp
서버 위치
미국
사용 버전
v3.5.0
브랜치
beta
기본 스킨
Vision[다올]
설립일
2024년 5월 15일 (D+629)[6]
소유자
iongames
라이선스
CC BY-NC-SA 2.0 KR

1.1.6. 시드위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드위키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1.1.7. 시해븐위키[편집]

시해븐위키
seaheavenwiki
파일:시해븐위키 아이콘.png
서버 위치
한국
사용 버전
v3.4.6 RC3[7]
브랜치
beta[A]
기본 스킨
Liberty
설립일
2022년 11월 29일 (D+796)
소유자
이서준, TSOM
라이선스
CC BY-NC-SA 2.0[9]
* 위키를 만든 목적은 소유자가 개인디코 서버원들과 뻘글을 쓰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 게시판이 존재한다.
* 점프 버튼 위에 빠른 상담을 위한 라이브 채팅이 존재한다.

1.1.8. 엔젤위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엔젤위키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1.1.9. 오픈테섭[편집]

오픈테섭
openNAMU Test Server
서버 위치
미국
사용 버전
v3.5.0
브랜치
dont_use
기본 스킨
Ringo
설립일
v1: 2017년 2월 10일 (D+2914)
v2: 2020년 1월 20일 쯤 (약 D+1840)
소유자
2du
라이선스
BSD 3-Clause
* openNAMU 개발자인 2du가 만든 위키이다.
* 문서는 openNAMU 사용 설명서와 개발자의 개발 일지, 잡담 일지가 존재한다.
* 개발자의 개인 위키라고 밝힌 적이 있다.

1.1.10. 위브위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위브위키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1.2. 개인 위키[편집]

1.2.1. 광토리의 백과사전[편집]

광토리의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Gwangtori
파일:광토리의 백과사전 로고.svg
서버 위치
한국
사용 버전
v3.5.0
브랜치
dev
기본 스킨
Vision
설립일
v1: 2022년 6월 16일 (D+962)
v2: 2024년 3월 17일 (D+322)
소유자
광토리
라이선스
CC BY 4.0
* v1 시절의 이름은 광토리위키이며, 블로그에 쓰기 뭐한 글들을 쓰는 공간이였으나, 일상 블로그와 주제가 많이 겹쳐 사라졌으나...
* v2인 광토리의 백과사전으로 부활하였다. 일상 블로그를 대체하기 위해 개설하였으며 점차 IT 블로그와 교통 블로그를 흡수합병할 예정이다.
* 기존 블로그 글 아카이빙은 하지 않을 예정이다.[10]

1.2.2. 월드콘위키[편집]

월드콘위키
worldconewiki
파일:월드콘위키 로고.png
서버 위치
알려지지 않음
사용 버전
v3.4.6-RC4.3
브랜치
stable[A]
기본 스킨
Liberty
설립일
2023년 9월 3일 (D+518)
소유자
sunwoo1524
라이선스
ARR
* 월드콘 체리픽 인스턴스(연합우주 SNS)의 위키로 해당 인스턴스 소유자의 개인 위키이다.

1.2.3. 우아즈위키 [편집]

개인 위키
위키 이름
링크
서버 위치
사용 버전
기본 스킨
라이선스
우아즈위키
한국
v3.4.5
Tenshi
CC BY 4.0

1.3. 일부 수정해서 사용하는 위키[편집]

일부 수정해서 사용하는 위키
위키 이름
링크
서버 위치
사용 버전
기본 스킨
라이선스
GBSWiki
일본
v3.4.3
LibertyForNorth
CC BY-NC-SA 3.0
일본
v3.5.0[12]
sonagi
CC BY-NC-SA 2.0 KR

2. 접속 불가능한 위키[편집]

  • 일반 위키
    • Diki Wiki: @
    • MGWiki: #
    • ONDS[13]: #
    • OPENWIKI: #
    • 곰큐위키: @
    • 기록위키: #
    • 도린위키: @
    • 만두위키: @
    • 알파고위키: #
    • 인싸위키: @
    • 주갤위키: @
    • 트와이스 위키: @
    • 한빛위키: @
    • 허수위키: #
  • 개인 위키
    • 파온케위키: #
  • 미러
    • 무나위키 미러: @

3. 다른 엔진으로 변경한 위키[편집]


[A] 1.1 1.2 1.3 1.4 구버전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다올] 2.1 2.2 2.3 다올위키 수정 버전을 사용 중이다.[6] 더시드위키 가상위키: 2022년 6월 7일, FANDOM: 2023년 7월 2일[7] 2023년 3월 버전이다.[9] 다올위키 포크 문서는 CC BY-SA 4.0 적용.[10] 글들을 가져오기엔 너무 많이 글을 썼다...[12] v.3.4.x로 격하되기 이전의 버전으로 2021년 12월 4일 버전이다.[13] Open Namu Demo Server[14] 미디어 위키가 있는 상태에서 오픈나무 위키를 추가로 개장한 형태였다. 하지만 이용률이 저조해서 그런지 통폐합되었다.
문서 가져옴



파일:cc.svg
* 이 문서는 openNAMU의 85에서 일부를 가져왔어요. 기여자 확인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